웹 표준 & 접근성
목차
📌 웹 표준 & 접근성
📍웹 표준
W3C(World Wide Web Consortium)에서 권고하는
웹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나 규칙 (웹은 인터넷이 아니다)
웹 개발에 사용되는 언어인 HTML, CSS, JavaScript 등의 기술을 다룬다
🔗 웹 표준의 장점
- 유지 보수의 용이성
- 웹 호환성 확보
- 검색 효율성 증대
- 웹 접근성 향상
📍 Semantic HTML
웹 표준 - HTML을 시멘틱하게 작성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
💡 시멘틱 뭔가요?
📖 semantic : 의미의, 의미가 있는 이라는 뜻의 영단어
- <div>와 <span>으로 화면 구성하기
- 시멘틱 요소로 화면 구성하기
🔗 시멘틱 HTML의 필요성
- 개발자간 소통
- 검색 효율성
- 웹 접근성
🔗 시맨틱 요소의 종류
자주 사용되는 시맨틱 요소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
<header> | 페이지나 요소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머릿말 역할의 요소입니다. |
<nav> | 메뉴, 목차 등에 사용되는 요소입니다. |
<aside> | 문서와 연관은 있지만, 직접적인 연관은 없는 내용을 담는 요소입니다. |
<main> | 이름 그대로 문서의 메인이 되는 주요 콘텐츠를 담는 요소입니다. |
<article> | 게시글, 뉴스 기사 등 독립적으로 구분해 재사용할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하는 요소입니다. 각각의 <article>을 구분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며, 보통 제목(<hgroup>)을 포함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. |
<section> | 문서의 독립적인 구획을 나타내며, 딱히 적합한 의미의 요소가 없을 때 사용합니다. 제목(<hgroup>)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|
<hgroup> | 제목을 표시할 때 사용하는 요소로, <h1> ~ <h6> 요소가 <hgroup>입니다. |
<footer> | 페이지나 요소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꼬릿말 역할의 요소입니다. |
📍크로스 브라우징
웹 사이트에 접근하는 브라우저의 종류에 상관 없이 동등한 화면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작업
크로스 브라우징은 초기 기획 → 개발 → 테스트/발견 → 수정/반복의 단계로 진행된다.
📍 SEO
On-Page SEO : 페이지 내부에서 진핼 할 수 있는 SEO, 제목과 콘텐츠, 핵심 키워드의 배치, 효율적인 HTML 요소 사용법 등을 이용
Off-Page-SEO : 웹 사잍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SEO로, 소셜 미디어 홍보, 백링크 등을 이용하는 방법, 내용과 주고와는 관계 없다
🔗 On-Page SEO
- <title> 요소
- <meta> 요소
📍 웹 접근성
모든 사용자가 신체적, 환경적 조건에 관계없이 웹에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
🔗 웹 접근성의 실태
우리나라의 웹 접근성 수준은 높지 않다
대부분의 경우 웹 접근성에 대한 인식이 낮고, 잘 지켜지고 있지 ㅇ낳다.
🔗 웹 접근성을 갖추면 얻을 수 있는 효과
- 사용자층 확대
- 다양한 환경 지원
- 사회적 이미지 향상
🔗 인식의 용이성(Perceivable)
- 적절한 대체 텍스트
- 자막 제공
- 색에 무관한 콘텐츠 의식
- 명확한 지시사항 제공
- 텍스트 콘텐츠 명도 대비
- 자동 재생 금지
- 콘텐츠 간 구분
🔗 운용의 용이성(Operable)
- 키보드 사용 보장
- 초점 이동
- 조작 기능
- 응답 시간 조절
- 정지 기능 제공
- 깜빡임과 번쩍임 사용 제한
- 반복 영역 건너뛰기
- 제목 제공
- 적절한 링크 텍스트
🔗 이해의 용이성(Understandable)
- 기본 언어 표시
- 사용자 요구에 따른 실행
- 콘텐츠 선형 구조
- 표의 구성
- 레이블 제공
- 오류 정정
🔗 견고성(Robust)
- 마크업 오류 방지
- 웹 어플리케이션 접근성 준수
📍 WAI-ARIA
WAI에서 발표한 RIA 환경에서의 웹 접근성 기술 규격
WAI : Web Accessibility Initiative, 웹 표준을 정하는 W3C에서 웹 접근성을 담당하는 기관
ARIA : Accessible Rich Internet Applications,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웹 콘텐츠와 웹 응용 프로그램에 더 쉽게 엑세스 할 수 있도록, 즉 웹 접근성을 갖추기 위한 기술
- RIA(Rich Internet Applications) : 별도 설치 없이 편리성 프로그램을 직접 설치 빠른 반응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가지는 웹 어플리케이션, SPA
🔗 WAI-ARIA 필요성
- HTML 요소에 추가적으로 의미를 부여하여 더 원할하세 페이지를 탐색 할 수 있게 도와준다
- SPA처럼 AJAX를 사용하는 상황, 즉 새로고침 없이 페이지의 내용이 바뀌는 상황에서도 변경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전달해줄 수 있어 동적인 컨텐츠에서도 웹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
🔗 WAI-ARIA 사용법
- 역할(role) : HTML 요소의 역할을 정의하는 속성
- 상태(state) : 요소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속성
- 속성(property) : 요소의 특징을 정의하는 속성(attribute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