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[JS] Chapter 4. 배열
    codeStates front-end/Java Script 2023. 1. 4. 10:22
    반응형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배열 : 순서가 있는 값

     

     

    값 - 요소(element)

    순서 - 인덱스(index), 1이 아닌 0부터 번호를 매김

     

    대괄호를 이용해 배열을 만들고, 각각의 원소는 쉼표로 구분

     

     let myNumber = [73, 98, 86, 61, 96];
    

     

    → myNumber 3번째 인덱스는 61이다.

     

    myNumber[3]; // 61
    

     

    실습 1) myNumber의 1번째 인덱스의 값은?

    실습 2) myNumber의 1번째 인덱스의 값의 0번째 인덱스의 값은?

     

    let myNumber = [[13,30], [73,8], [44,17]]; //1번째 인덱스의값은 [73,8] 이며, 실습2의 닶은 73이다]
    

     

    배열로 할 수 있는 것들

     

    let myNumber = [73, 98, 86, 61];
    
    myNumber.length; // 길이
    myNumber.push(96); // 새로운 값을 추가
    myNumber.pop(96); // 요소 삭제
    
    

     

    배열과 반복문의 조합

     

    실습) 반복문을 이용해 배열의 요소를 한번씩 출력하려면?

     

    let myNum = [73, 98, 86, 61];
    
    for(let n=0;n<myNum.length;n++){
    	console.log(myNum[n]);
    }
    
    

     

    배열의 메소드1

     

    let words = ['피','땀','눈물'];
    
    Array.isArray(123); //false
    Array.isArray(words); // true
    Array.isArray([1,2,3]); // true
    Array.isArray([]); // true
    

     

    열의 메소드2

     

    let words = ['Radagast','the','Brown'];
    
    /*특정한 엘리먼트를 찾고자 할 때*/
    
    words.indexOf('the') // 1
    words.indexOf('Radagast') // 0
    words.indexOf('없는 단어') // -1
    words.indexOf('다른것') // -1
    words.indexOf('Brown') !== -1 // true
    words.indexOf('없는단어') !== -1 // false
    words.indexOf('brown') // -1 대소문자 구문
    
    /*찾고자 하는 엘리먼트의 존재 유무*/
    function hasElement(arr, element){
    	let isPresent = arr.indexOf(element) !== -1;
    	return isPresent;
    }
    
    hasElement(words, 'Brown') // true
    hasElement(words, '없는단어') // false
    
    /"찾고자 하는 엘리먼트의 존재 유무 메소드 include"/
    words.includes('Brown') // true
    words.includes('없는단어') // false
    
    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